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dpfreak의 ΔH] National Medical Stores: Solomon Islands (김윤승)

"이것은 사실 내 연애에 관한 이야기다."

솔로몬 군도의 National Medical Stores (NMS)는 보건부 (Ministry of Health & Medical Serices)의 산하 기관으로서, 국립병원을 비롯한 전국의 모든 공공보건의료기관 및 사립의료기관 (이 경우는 유상판매)에 의료기자재, 소모품, 의약품 등을 일괄 공급하고 있다. 급 솔로몬 군도의 제약공급시스템이 궁금해져서 한번 찾아가 보았다.

1두둥!!!  National Medical Stores의 간판!!! NMS의 역할이 간단하게 기술되어 있다.

2호주의 KOICA와 같은 양자 공적개발원조 기구인 AusAID의 마크가 보인다. 지금은 AusAID가 호주의 외교통상부 (Department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DFAT)에 통합되었다.

3NMS의 전체 구매 예산의 60%는 중앙 정부가, 나머지 40% 정도는 호주 정부가 지원하고 있다고 한다.

1234요건... NMS 외부에 위치한 컨테이너에 그려져 있던 무게 주의 사인인데... 뭔가 굉장히 마음에 든다...

4사무실에 들어서자... 응??? 왠 컴퓨터와 서버가... 이는 모두 mSupply를 위한 것이다...

6mSupply는 Sustainable Solution에 의해 개발된 제약공급체인을 위한 소프트웨어로 개발도상국의 제약창고, 병원약국 및 제약고, 보건소 및 약국에서의 사용을 위해 개발되었다.  그 시작은 네팔 카투만두의 제약공급국에서의 사용을 위한 것이었는데,  2001년부터는 다른 개발도상국에서의 사용을 목표로 개발하고 있다. mSupply program은 무료이며 현재 약 20여개의 나라에서 사용 중이다.  mSupply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은 여기를 클릭하면 볼수 있다. (아... 그와중에 인포그라피 이쁘다...)

7솔로몬 군도의약품 공급 시스템은 mSupply를 통해 어느정도 Computerize되어 있는 상태이며, 특정 규모 이상의 의료기관에서 요청하는 의약품이나 의료소모품의 필요에 대해서는 즉각적인 업데이트가 되고 있다. (물론 아직 아닌 지역이 더 많으며, 호니아라를 제외한 지역에서 솔로몬 군도에서 제대로된 인터넷 커넥션을 바라기는 힘들다. 그나마 호니아라에 존재하는 것도 굉장히 느리다.) 커넥션이 살아있는 경우 하드카피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모든 과정에서 시간을 절약하고, 분실을 방지할수 있으며, 즉각적인 자료분석이 가능해 진다. 하지만 솔로몬 군도의 전기비와 통신비가 매우 비싼 것이 장애요소... 이들의 말로는 조만간 보건부 시스템이 재경부의 IT 시스템과 공유될 예정이라 제대로 된 체계가 구축될 것이라고 한다. 모든 자료는 NMS와 네팔의 서버에 주 (weekly) 단위로 자동저장되게 되어 있다.  해당 소프트웨어는 스마트폰 Application으로도 제작되어 아이패드나 아이팟, 아이폰으로도 활용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한다.

10NMS의 역사를 말해주는 사진들...

9이들의 노력은 솔로몬 군도의 보건 시스템의 Legacy로 남겠지...

12제약 신청 및 공급은 Standard Order Form을 작성함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의사 및 간호사등 의료인이 작성을 하게 되어 있있으며,  각각의 지역보건소의 의료인은 이 리스트를 작성하는 법을 따로 교육받게 된다.

11그렇게 정리가 된 자료는 다시...

14전산화 되어 이렇게 각 보건소 별로 스크린에 나타난다.
(공항 스크린 같에...)

15솔로몬 군도 전역에는 총 300개 이상의 지역 보건소가 있는데 이를 모두 NMS에서 관리하기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각주의 Second Level Medical Hospital (22개)에서 관할구역 내 보건소들을 관리하고 있다.

16제약은 중동과 아프리카 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구입하고 있으며, 제약을 주문하여 받는데 까지는 약 6개월 가량이 소요된다. (제조 및 운반에 3개월, 국내에서의 분배에 3개월)

17유통기간이 매우 중요시 되기 때문에 약은 주문과 동시에 제조에 들어간다.

19그나저나... 여긴... 코스코 같에... 흔히말하는 Tied 원조에서의 손실이 크기 때문에 OECD에서는 Untied 원조를 권고하고 있다. 따라서, 솔로몬 군도처럼 수원국 내 조달체계가 존재할 경우 이를 존중하여 이를 활용하면서 사업을 진행하는 것이 현명할 것이다. NMS와 협의결과 별도의 수수료를 받지도 않으며, 대금지불은 기기 및 소모품의 수령 및 검수 후 직접 NMS와 연계된 해외 의료기기 업체에 송금함으로 이루어 진다고 하니, 이 좋은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을 이유가 없지 않은가? 이렇게 하는 편이 사업의 지속성을 위해서도 무척이나 유리하다. 기기가 고장나거나 할 경우 유지보수를 할 수 있는 교체부품의 조달이 훨씬 용이하기 때문이다.

a창고를 지키는 수호신...

20혈액저장냉장고... 저도 가지고 싶어요...

21No.9 병원에서 약 운반을 위해 오신 분들...

22NMS 직원들 유니폼에는 "약은 당신을 도울수도 해칠수도 있습니다"라는 문구가 씌여있다.

23우리 솔리비아와 NMS 직원 인증 샷... 사진찍기 싫어하는 초등학생 두명 세워놓고 찍은 것 같다...



이건 NMS의 Manager이신 Mr. William Horoio의 친절한 설명... 감사해요...

사실 테크놀로지의 발전이 개발의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은 무궁무진 하다. 개인적으로는 이러한 발전들이 결국은 빈곤퇴치에 이루는데 지대한 역할을 해줄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mSupply를 비롯한 자동화 된 제약관리시스템의  효율성과 효과성에 대해서는 mHealth와 관련한 포스팅에서 조만간 다시 다룰 예정이다. 그럼 이번 포스팅은... 여기서... 이만...

끗...

Copyright (C) since 2008 by www.dpfreak.com all rights reserved.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국제보건 사업 현장에서의 답 없는 고민들] 보건의료인력 역량강화 (이인석)

모성 및 신생아 건강 증진 사업의 핵심 목표는 시설분만율을 높이고 , 산모가 시설에 왔을 때 질 높은 서비스 (Quality care) 를 제공받아 안전한 분만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 이를 위해 각 시설의 인력 및 시설 역량강화 (Improve availability and readiness), 시설 이용율을 높이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 (Increase utilization), 지역사회 주민들의 인식개선 (Increase demand for use) 등을 종합적 (Comprehensive) 으로 증진 시킬 수 있는 프로젝트들이 많이 개발되어 진행 중에 있다 . 이 중 특히 시설의 인력 및 시설 역량강화 부분은 다른 활동들에 비해 쉽게 (?) 진행할 수 있고 결과도 상대적으로 눈에 잘 띄는 것처럼 보이기에 많은 기관에서 선호하는 활동이 아닌가 싶다 . 활동의 결과가 상대적으로 눈에 잘 띄는 것처럼 보인다는 얘기는 관련된 활동의 지표 달성율을 높이기가 타 활동들에 비해 쉽다는 말이다 . 보건의료인력 역량강화 활동에 주로 쓰이는 Output 수준의 지표는 트레이닝을 받은 인력의 수 , 트레이닝 받은 인력의 지식 증가 정도 등이 되겠다 . 이러한 지표들은 ‘ 지역사회 주민들의 모성보건 관련 인식 증가 수준 ’, ‘CHW 가 등록한 산모의 수 ’ 등과 같은 지표에 비교했을 때 측정 및 목표달성이 상대적으로 간단하다 . 하지만 문제는 보건의료인력 역량 강화라는 것이 단순한 Output 지표 증가로 만족하고 끝날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 우리가 트레이닝을 제공했을 때 기대하는 결과물은 해당 트레이닝을 통해 보건의료인력들의 지식 수준이 증가하고 , 트레이닝 받은 인력이 시설로 돌아가서 배운 내용을 활용하여 환자들에게 업그레이드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 이를 통해 환자들의 만족도가 높아지며 , 결과적으로 모성사망률 감소에 지대한 공헌을 하는 것일 것이다 . 그렇다면 현장에서 과연 이 아름다운 스토리가 잘 쓰여질까 ? 쉽지않은 일이다 . 왜 쉽지 ...

[필드에서 전하는 C4D 이야기] 트레이닝 어디까지 해봤니? (김형준)

지난 삼일간 디스트릭트 베이스 교육청 직원 대상으로 한 C4D 교육을 마쳤다. 중앙정부 관계자부터 지방에 베이스를 둔 엔지오 파트너까지 정말 많은 사람들을 때로는 영어로 때로는 현지어를 섞어가며 트레이닝을 해오면서 느낀 점을 조금 나누어보고자한다. 1) 파워포인트는 사치!  중앙정부 관계자는 다른 일이지만 군(district) 레벨 까지 가게 되면 프로젝트는 물론 랩탑도 없는 경우가 다반사다. 도너 펀딩이 많은 보건쪽 중앙정부는 맥북쓰고 막 그런다. 허나 교육같은 다른 섹터는 랩탑도 없는 경우가 다반사. 이 사람들에게 나 편하자고 피피티 만들어서 교육하면 나야 편하다. 그러나 이들이 자기 지역으로 돌아가서 커뮤니티, 학교, 병원에 가서 우리가 준 피피티로 똑같이 교육할 수 있을까? 하는 질문에 우린 자신이 없다. 그래서 준비에 시간이 더 걸리더라도 종이를 자르고 붙이고해서 교육자료를 만든다. 교육 참가자들이 자기 자리로 돌아가 쉽게 replicate 할 수 있도록 그들의 눈높이에 맞추는 것. 그래서 이런 교육 갈때마다 캐리어 한가득 종이뭉탱이를 들고간다. 구식이고 후져보일지도 모르겠다. 허나 현장에선 이게 적정기술이라면 적정기술이다. 뭐 그렇다고 피피티가 없는 건 아니다. 피피티로 가능한 참가자들에게는 그들을 위한 200슬라이드가 넘는 자료가 있다. 못해서 안하는 게 아니라는게 포인트. 2) 캔유 플리즈 스픽 잉글리시 플리즈?  우스개소리지만 한 영국 사람이 가나에서 트레이닝을 막 진행하다 질문있냐고 물었다고 한다. 그러자 가나 사람이 물었다. "캔 유 플리즈 스픽 잉글리시 플리즈?" 제발 영어로 말해줄 수 있냐는 거다. 참고로 가나 공용어는 영어다. 영어를 잘한다는 것과 커뮤니케이션을 잘한다는 것은 다른 문제라는 좋은 예. 발음, 억양, 표현법 등이 실제로 메세지를 전달하는데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나는 나름 코리아나이즈 된 미국 억양을 쓴다고 생각하지만 이들에게는 외계영어로 들릴 수도 있다는 ...

[닥터리의 가나 스토리] 개도국 보건분야 지원 예산의 집행과 관리의 어려움.. (이훈상)

가나 보건부 보건분야 섹터회의에 참석하면서 느낀 것 하나. 개도국 보건분야에 지원된 예산이 제대로 집행되고 관리되기 위해 필요한 것.. 돈을 제대로 쓸곳에 쓰는지 돈을 제때에 썼는지 돈을 쓴 사항은 제대로 집행이 되었는지 자금의 전용은 있었는지 돈을 쓴 결과 등이 제때에 정확히 보고가 되고 있는지 돈을 쓴 결과가 보고가 된 데이터와 자료들이 제때에 재대로 집계가 되는지 돈을 쓴 결과가 제때 보고되지 않을때 이에 대한 재재 방안이 있는지 보고되고 집계된 데이터에 대한 정리와 분석이 이루어지는지 집계된 예산 집행 데이터 보고 자료 결과에 대한 환류가 정책과정으로 구축되어 있는지 이에 더하여 기획과 집행, 관리, 모니터링과 평가 등에 있어서 집행 과정에 대한 관리 집행할 프로그램과 사업에 대한 기획의 역량 집행을 위한 조직 구조와 관리 체계 프로그램과 사업 집행의 지속적인 모니터링 구조의 구축 프로그램과 사업 집행 결과의 평가 및 확인 집행된 프로그램과 사업의 실질적인 효과성에 대한 확인 집행된 프로그램과 사업의 효과의 실질적 영향(counter factual에 비교한 검증)의 평가와 확인 요즘 들어 학부시절 공공재정학(Public Financing) 수업을 안들었던 것이 두고 두고 아쉬운 느낌. 특히 가나의 경우 많은 섹터 예산 지원등을 받고 있었고 SWAP의 초기 모델 국가였던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지적받고 있는 부처의 예산 집행과 관리에 있어서의 산적한 문제로 인해서 점점 도너들이 섹터예산지원에서 돈을 빼가고 있는 상황 가운데, PFM(Public Finance Management)의 중요성이 매우 강조되고 있는 상황. 수많은 섹터예산 지원을 했던 도너들은 매우 frustrate되어 있는 상황. 지원된 예산을 쓰고 이에 대한 보고와 관리 체계를 운용하는 것 자체가 가나 정부에겐 국가적 institutional capacity 차원에서 매우 큰 어려움으로 작용하고 있는 상황. 여기에는 부패도 있지만 공공재정의 관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