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닥터리의 가나 스토리] 개도국 보건분야 지원 예산의 집행과 관리의 어려움.. (이훈상)

가나 보건부 보건분야 섹터회의에 참석하면서
느낀 것 하나.
개도국 보건분야에 지원된 예산이 제대로 집행되고 관리되기 위해 필요한 것..
돈을 제대로 쓸곳에 쓰는지
돈을 제때에 썼는지
돈을 쓴 사항은 제대로 집행이 되었는지
자금의 전용은 있었는지
돈을 쓴 결과 등이 제때에 정확히 보고가 되고 있는지
돈을 쓴 결과가 보고가 된 데이터와 자료들이 제때에 재대로 집계가 되는지
돈을 쓴 결과가 제때 보고되지 않을때 이에 대한 재재 방안이 있는지
보고되고 집계된 데이터에 대한 정리와 분석이 이루어지는지
집계된 예산 집행 데이터 보고 자료 결과에 대한 환류가 정책과정으로 구축되어 있는지
이에 더하여 기획과 집행, 관리, 모니터링과 평가 등에 있어서
집행 과정에 대한 관리
집행할 프로그램과 사업에 대한 기획의 역량
집행을 위한 조직 구조와 관리 체계
프로그램과 사업 집행의 지속적인 모니터링 구조의 구축
프로그램과 사업 집행 결과의 평가 및 확인
집행된 프로그램과 사업의 실질적인 효과성에 대한 확인
집행된 프로그램과 사업의 효과의 실질적 영향(counter factual에 비교한 검증)의 평가와 확인
요즘 들어 학부시절 공공재정학(Public Financing) 수업을 안들었던 것이 두고 두고 아쉬운 느낌. 특히 가나의 경우 많은 섹터 예산 지원등을 받고 있었고 SWAP의 초기 모델 국가였던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지적받고 있는 부처의 예산 집행과 관리에 있어서의 산적한 문제로 인해서 점점 도너들이 섹터예산지원에서 돈을 빼가고 있는 상황 가운데, PFM(Public Finance Management)의 중요성이 매우 강조되고 있는 상황. 수많은 섹터예산 지원을 했던 도너들은 매우 frustrate되어 있는 상황. 지원된 예산을 쓰고 이에 대한 보고와 관리 체계를 운용하는 것 자체가 가나 정부에겐 국가적 institutional capacity 차원에서 매우 큰 어려움으로 작용하고 있는 상황. 여기에는 부패도 있지만 공공재정의 관리 운용 차원에서의 역량의 부족 자체도 매우 큰 문제가 되고 있는 듯. 물론 상당히 낮은 월급을 받고 있는 전국에 퍼져있는 공무원들이 모티베이션도 적기도 하고 단순 게으름의 문제도 있지만, 이를 다잡고 관리하는 국가적 관리체계의 취약성 및 정부의 역량의 부족도 한 몫을 하고 있는 듯.
그러고 보면 한국에서 아직 각 부처의 사업의 효과성에 대한 평가 등이 정부 집행의 과정에 있어서는 취약한 듯 하긴 하지만, 적어도 수많은 중앙부처 공무원들을 과로로 몰고가는 기본적인 예산의 집행과 관리에 있어서의 철저한 관리와 보고 체계, 각 단계에서 집행률 성과에 대한 보고가 이루어지는 과정(나 또한 정신없이 이 과정에 있어온 한명이였던 듯), 예산 집행에 대한 과도하리 만치 세세하고 집요하게 이루어지는 수많은 감사의 체계와 감사 과정 들(물론 이젠 한국에선 정부 기관 시스템의 효율성을 매우 저하기키는 구조적 요소로 작용하는 듯 하지만..), 등이 한국에선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라 생각이 들기도. 물론 한국의 경우 이러한 촘촘한 수없이 많은 보고 과정과 감사 등의 과정이 단순화, 효율화 될 필요도 있고, 선진국에 걸맞는 더욱 스마트한 관리 운용체계가 필요한 듯도 하지만, 어찌 보면 이러한 정부 집행체계의 구축과 운용이 개발도상국 시절, 정부의 운용과 관리 체계를 단기간에 훌쩍 jump-up 시키는데는 효과적인지 않았나 싶기도 함. 물론 이제 한국은 과거 수십여년간 촘촘하게 쌓여온 뷰로크라시의 복잡한 체계를 단순화하여 효율적인 방향으로 가야한다 생각이 되기는 하지만, 가나와 같은 개도국의 경우에 있어서는 여전히 부러운 부분이 많고, 어떻게 개발도상국이 이정도의 국가 집행과 운용체계를 구축해나갈 수 있을까.. 가 국가의 개발을 고민하는 차원에서는 쉽게 풀리지 않는 숙제일듯 하다는..
암튼 개도국에서 무언가가 향상이 되기 위해서 단지 효과성 있는 프로그램의 형성과 특정 중재사업의 평가 등을 떠나, 풀어야 할 구조적인 문제들이 산적한 상황에서 무언가가 되게 해야 하는 도전들이 있는 상황임을 인식하는게 중요하다는 것이 요즘 더욱 더 드는 생각인 듯. 물론 이것은 국가의 institutional capacity 를 근본적으로 향상시켜야 하는 근본적이고 사실상 풀기 힘든 문제이긴 하지만...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dpfreak의 ΔH] World Vision Solomon Islands Country Office: Village Health Volunteers (김윤승)

"이것은 사실 내 연애에 관한 이야기다." 국제개발에서 중요한 축을 차지하는 행위자(Actor)중 하나는 소위 INGO로 일컬어지는 단체들이다. 우리나라에도 많이 알려진  World Vision도 INGO인데 솔로몬 군도 현장에서의 지역사회보건요원에 대한 정보를 얻기위해 방문해 보았다. ε= ε= ᕕ( ᐛ )ᕗ 근데 난 아직도 World Vision이라고 하면 김혜자 아줌마가 생각 나드라... 이래서 광고의 힘은 무서운겨... 여기서 잠깐만!!! (;*´Д`) 도와줘요  DPFREAK!!! 지역사회보건요원(Community Health Worker: CHW)이 뭔가요??? 1978년 Alma-Ata 선언에서는 1차보건의료(Primary Health Care)의 개념 제시하였으며, "Health for all"이라는 구호아래 이에 대한 실천 의지를 표명하였다. (정말이지 Alma-Ata  선언이 아니었다면 난 뭐해먹고 살고 있었을까...) Merson MH의 가나에서의 연구는 1차 의료는 2차 혹은 3차 의료에 비해 필요로 하는 금액이 적게 드는 반면 (1차 의료: 15%, 2차 의료: 45%, 3차 의료 40%) 그 혜택을 입을 수 있는 인구의 비율은 매우 높다는 것 (1차 의료: 90%, 2차 의료: 9%, 3차 의료: 1%)을 보여준다. 따라서 1차 의료에 대한 투자는 지역사회의 질병의 발전을 막는 예방활동의 개념과 더해져 비용대비 효율적인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및 아시아 지역 개발도상국이 당면한 보건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인력양성방향에 대한 그간의 국제사회의 움직임은 장기적이고 전문적인 훈련을 받은 “의사”를 양성하기 보다는 비용효과적인 다수의 지역사회보건요원 및 비의사 임상의료인력 등을 포함한 기초보건인력의 양산에 초점을 맞춰져왔다. 특히 지역사회보건요원 활용한 일종의 Task Shifting을 통해 가장 소외된 이들에게도 최소한의 보건의...

[국제보건 사업 현장에서의 답 없는 고민들] Community Health Worker에 대한 단상 (이인석)

국제보건 사업은 수학이 아니다 . 따라서 각 문제 해결을 위한 깔끔한 공식과 명쾌한 정답이 없다 . 물론 몇몇 사업은 깔끔하게 정리되는 것이 있지만 대부분이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 정답이 없는 분야의 사업들도 정답으로 가는 큰 방향은 오랜 시간 , 여러 훌륭한 분들의 노고로 인해 잡혀있는 것들이 많다 . 예를 들면 , 모성사망을 줄이기 위한 핵심은 산모들이 시설에서 분만하게 하고 , 시설에 왔을 때 제대로 된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끔 의료인력의 수준 , 의료기기 , 의약품 등이 준비되게 하는 것이다 . 하지만 이를 달성하기 위한 세부 방향은 굉장히 다양하고 복잡하다 . 내가 탄자니아 신양가 주의 키샤푸 군에서 진행하고 있는 사업은 모성건강증진 사업이다 . 위에서 언급한 한 문장이 가능해지게 하기 위한 사업인데 , 이를 위해 진행하고 있는 세부 활동들은 30 개가 넘는다 . 많은 활동들을 하고 있는 만큼 모성사망 감소에 가장 큰 효과를 선사해줄 방향을 찾는 것은 쉽지가 않다 . 아주 숙달된 전문가 선생님들은 다를 수도 있지만 , 나 같은 초짜 사업책임자에게는 너무나도 어려운 일이다 . 나도 국제보건을 글로만 배울 때에는 이 정도로 애매한 것들이 많을 줄 몰랐다 . 그냥 이렇게 가면 이렇게 되는 줄 알았다 . 하지만 실제 현장에서 사업을 진행하는 것은 차원이 다른 얘기였다 ( 현장에 계셨던 , 계신 모든 분들 존경합니다 ). 어쨌든 나 같은 초짜가 할 수 있는 것은 열심히 공부하고 , 많은 선배님들께 질문하고 , 토론하고 , 현지 사람들을 만나 대화하고 배워나가는 것밖에 없다 . 그래서 내가 현장에서 겪었던 답 없는 고민들과 이를 옳은 방향으로 이끌기 위해 어떤 작업들을 했고 , 현재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정리를 해보고자 한다 . 많은 선배님들과 전문가 분들의 날카로운 비판을 기대하며 . 첫번째 고민은 , Volunteer-based 인 탄자니아의 마을보건요원 (Community Health Worker, CHW) 들을 어떻게 하면 열심히 ...

[국제보건 사업 현장에서의 답 없는 고민들] 보건의료인력 역량강화 (이인석)

모성 및 신생아 건강 증진 사업의 핵심 목표는 시설분만율을 높이고 , 산모가 시설에 왔을 때 질 높은 서비스 (Quality care) 를 제공받아 안전한 분만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 이를 위해 각 시설의 인력 및 시설 역량강화 (Improve availability and readiness), 시설 이용율을 높이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 (Increase utilization), 지역사회 주민들의 인식개선 (Increase demand for use) 등을 종합적 (Comprehensive) 으로 증진 시킬 수 있는 프로젝트들이 많이 개발되어 진행 중에 있다 . 이 중 특히 시설의 인력 및 시설 역량강화 부분은 다른 활동들에 비해 쉽게 (?) 진행할 수 있고 결과도 상대적으로 눈에 잘 띄는 것처럼 보이기에 많은 기관에서 선호하는 활동이 아닌가 싶다 . 활동의 결과가 상대적으로 눈에 잘 띄는 것처럼 보인다는 얘기는 관련된 활동의 지표 달성율을 높이기가 타 활동들에 비해 쉽다는 말이다 . 보건의료인력 역량강화 활동에 주로 쓰이는 Output 수준의 지표는 트레이닝을 받은 인력의 수 , 트레이닝 받은 인력의 지식 증가 정도 등이 되겠다 . 이러한 지표들은 ‘ 지역사회 주민들의 모성보건 관련 인식 증가 수준 ’, ‘CHW 가 등록한 산모의 수 ’ 등과 같은 지표에 비교했을 때 측정 및 목표달성이 상대적으로 간단하다 . 하지만 문제는 보건의료인력 역량 강화라는 것이 단순한 Output 지표 증가로 만족하고 끝날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 우리가 트레이닝을 제공했을 때 기대하는 결과물은 해당 트레이닝을 통해 보건의료인력들의 지식 수준이 증가하고 , 트레이닝 받은 인력이 시설로 돌아가서 배운 내용을 활용하여 환자들에게 업그레이드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 이를 통해 환자들의 만족도가 높아지며 , 결과적으로 모성사망률 감소에 지대한 공헌을 하는 것일 것이다 . 그렇다면 현장에서 과연 이 아름다운 스토리가 잘 쓰여질까 ? 쉽지않은 일이다 . 왜 쉽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