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dpfreak의 ΔH] mHealth Summit 2014: Global mHealth Forum (김윤승)

“이것은 사실 나의 연애에 관한 이야기다.”

mhealthbanner
“언제나, 어디서나: 환자와 서비스 제공자를 연결(Anytime, Anywhere: Engaging Patients and Providers)”을 테마로 하는 mHealth Summit은 'CyberSecurity Summit'과 'PopHealth Summit'과 더불어 보건정보관리체계협회(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Society, HIMSS)와 관련된 3대 혁신 행사 중 하나로, 기술, 산업, 연구, 정책 분야 전문가들이 모여 모바일 기술을 활용한 건강 증진 및 의학 연구 방법을 논의하고, 혁신에 필요한 정책과 규제에 대해 발표하고 토론하는 자리이다... 매년 마지막 분기에 Washington DC에서 열리는데, 이 포스팅은 지난 2014년 12월 7일에서 11일, Washington DC 근교 Gaylord National Resort and Convention Center에서 열렸던 mHealth Summit에 대한 포스팅... 뭔가 1년이 훌쩍 넘어버려서 좀 늦은 감이 있으나, 내가 뭉개고 있는 포스팅이 한둘이 아니니 이런 것은 그냥 Excuse하고 넘어가기로 한다... 
(;*´Д`)ノ  아... 시간은 참 빨리도 흘러가는도다...

그럼 각설하고, 슝슝슝~ ε= ε= ( )

4Best Driver in the United States가 운전하는 차를 몰고 회의장소인 Gaylord National Resort and Convention Center에 도착하니 누가봐도 이곳은 mHealth Summit이 열리는 곳...

ლ(- -ლ)  아... 설레여... 처음와봐... 근데... 뭔가 하이테크해...

a행사장 초입에는 2015년에 계획된 행사들에 대한 안나가 있다...  'HIMSS'와 'mHealth Summit Europe', 그리고 2015년부터는 11월에 개최되는 mHealth Summit... 행사가 진행되는 동안에도 트위터를 통해서 공지를 계속 때리던 것이 꽤나 인상적이었다...

10a현장 등록도 가능하나, 모든 행사가 그렇듯이 가격에 있어서 차이가 존재한다... 가난한 우리는 아주 진작에 등록해 놓았지!!! 그렇다고 해서 참가비를 내가 낸건 아니지만...

)ノ  고마워요~

8명찰을 프린트하기 위해 등록대 한켠에 마련된 컴퓨터를  향한다... 오... 선생님들도 사전등록 하셨군요???

7간단하게 이름을 검색해서 태그를 프린트 해버리면 끝...

9태그를 뽑아보고 깨달은 건데... 음... 기관이름이 South Korea라고 되어었다... 이거... 누가보면 국가대표로 여기와 있는 줄 알겠다...

ლ(- -ლ)  으음... 나쁘지 않은데???

10자료집과 태그 뒷면의 친절한 컨퍼런스 스케쥴 요약... 오오... 이건... 간만에 보는 버라이젼 로고라니...

이건 2015 mHealth Summit 공식 홈페이지에 소개된 Walgreens의 부회장이자 Chief Medical Officer(CMO)인 Harry Leider (MD, MBA)박사의 2014 mHealth Summit Keynote Presentation의 일부...

 2014 mHealth Summit 참가자들의 한마디 모음...

2014 mHealth Summit Panel Discussion의 일부...

usaid1mHealth는 보건의료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모바일 기술을 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mHealth Summit 자체는 포괄적 의미의  mHealth... 즉, 흔히 '선진국'으로 일컬어지는 고소득 국가(High Income Countries) 및 중저소득국가 (Low and Middle Income Countries, LMICs) 모두에서 혁신을 추구하지만, 개발분야에서 일하는 사람으로서 우리가 관심있게 지켜보고 있는 mHealth의 관점은 보건의료서비스 접근성이 떨어지는 중저소득국가에서의 기초보건환경 조성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mHealth이다... 이러한 관점은 KOICA에서 제작한 "개도국 보건 향상 이끄는 mHealth 휴대폰으로 엄마와 아기 살려요! (글: 이훈상 전 KOICA 교육보건팀 전문관, 그림 김철홍)"라는 제목의 다음 만화를 보면 아마 조금은 쉽게 이해가 할 수 있을 것이다... (만화 출처: KOICA)

mhealthcartoon2만화의 후반부에는 주로 KOICA에서 지원하고 있는 중저소득 국가에서의 mHealth 사업에 대해서 공간을 할애하고 있는데, 우리 Project BOM의 Trachoma App도 살짝 소개가 된다... 이것 이외에도 최근 KOICA는 삼성전자와 미국의 개발협력국(United State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USAID: 한국에 KOICA가 있듯이 미국에는 USAID는 당연한 이야기겠지만 KOICA 보다 규모도 크고 긴 역사와 전통을 자랑한다... 전후 대한민국의 가장 큰 도너가 바로 이 USAID 되겠다...)과 협력으로, 아프리카 가나에서 주단위 보건정보 관리시스템 II (District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I, DHIMS II)과 연계한 mHealth 사업을 준비 중에 있다... (2016년 시작...) 이와 관련해서는 다음 기회를 빌어 다시 이야기 하도록 하고...

global mhealth forum
사실 우리가 이 mHealth Summit에 참가한 이유는 이와 함께 진행되는 'Global mHealth Forum' 때문!!!  Global mHealth Forum은 mHealth Working Group과 USAID 의 파트너십으로 2014년부터 시작되었으며, 특히 LMIC의 보건현황에 모바일 기술이 공헌할 수 있는 부분을 함께  고민하고 그 적용방법을 제시해보고자 하는 취지로 탄생하였다... 행사는 총 이틀간 이루어지며 (2014년의 경우는 12월 10일~11일), 행사의 세부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정부, 기부자, 시민사회, NGO, 사회적기업의 중저소득국가에서의 mHealth 사업의 디자인, 도입, 확장, 평가역량증진
  • 국제보건 이해관계자들과 중저소득국가의  mHealth 전문가들이 서로간, 그리고 보건부, NGO, 기술적 전문가및 mHealth Solution 제공업체들과 협력할 수 있는 장을 마련
  • 중저소득국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최신 mHealth 기술과 트랜드 공유
mhealth working group
그리고 이름에서 어떤 기관인지는 알겠으나 뭘하는 곳인지는 애매하다는 느낌이 확 오는mHealth Working Group을 잠시 설명하자면  Washington  DC에 위치한 단체이며, 세계 73개국의 450개 이상의 기관과 1,600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다... mHealth Working  Group의 Mission은 국제보건전략 내의 모바일 기술의 활용에 대한 큰 틀(Frame)을 마련하고, 회원들의 역량을 증진하며, 상호간 협력을 도모하는 한편 최신 지식을 나누는데 있다...

11당연한 이야기이겠지만 IT분야와 제약, 의료기기 분야에서 혁신을 추구하는 업체들이 스폰서로 참여하고 있다...

12이름만 봐도 알수 있는 Gold and Silver Sponsors...

13그럼 한번 행사를 들여다보자...

162014 Global Health  Forum에서는 당연 그 당시 PHEIC까지 선포되었던 Ebola가 화두였으며, 가장 비중있게 다루어졌다… Keynote는 Boston 아동병원 Computational Epidemiology Group의 Director인 John Brownstein 선생님… HealthMap 대해 발표해주셨는데…

일단 HealthMap의 소개영상을 한번 보도록 하자...

)ノ  우앙~ 뭔진 잘 모르겠지만 멋있어!!!

2HealthMap은 질병 발생시 실시간 감시를 위한 비공식 정보의 활용을 목적으로 2006년 설립된 연구자, 역학자, 소프트웨어 개발자 등으로 구성된 보스턴 아동병원 기반의 조직이다... 무료로 제공되는 웹기반 서비스인 'healthmap.org'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Outbreaks Near Me'는 실시간 질병 정보를 도서관, 지역보건부, 정부, 여행자등 다양한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온라인 뉴스 웹사이트, 직접 목격자의 보고, 전문가 토론 결과 및 공식 보고서 등 서로 이질적인 자료원을 하나로 통합하여 질병에 대한 포괄적인 현황과 해당 질병의 인간과 동물에의 영향을 보여준다... 참고로 HealthMap은 facebook에 Page도 운영중인데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질병의 이동경로나 양상에대해서 시각화하여 잘 보여주기 때문에 나 뿐만 아니라 많은 동료들이 follow하고 있다... (HealthMap의 facebook Page는 여기서 follow하도록 하자...)

1HealthMap은 24/7/365 자동화된 과정을 통해 질병자료를 감시,조직,통합, 거름, 시각화하여 이를 온라인 정보 형태로 배포한다... 배포는 총 9개의 언어로 이루어지며 이는 보건학적으로 위협이 되는 질병의 조기경보강화에 활용된다...

15HealthMap에 대한 더 자세한 자료를 보고 싶다면 여기를 클릭하자... 이 날 발표된 2014년 Ebola에 대한 자료는 여기에 있다... (Play버튼을 눌러주세요...)

17Ebola와 mHealth, 그리고 공중보건학적 위기관리와 예방에 대한 패널은 왼쪽부터, Adam Slote (eHealth Coordinator, Bureau for Global Health, USAID), John Brownstein (Director, Computational Epidemiology Group, Children's Hospital Boston), Sean Blaschke (UNICEF Health Specialist), Ousmane Ly (Agence Nationale de Telesante et d'Informatique Medicale, ANTIM)...

20다음은 Project HoneyBee에 대한 Panel Discussion이 있었다...

Panel은 왼쪽부터 Michael Birt (Director, Arizona State University), Dan Dixon (Chief Community Engagement Officer, Providence & Services), Teri Pipe (Dean, Arizona State University, College of Nursing), Jim Levine (Professor of Medicine, Mayo Clinic), Bryan Sivak (Chief Technology Officer, U.S. Department of Health & Health Services)...


honeybee1Center for Sustainable Health와 Arizona State University Bio Design Institute의 Project HoneyBee는 바이오센서나 디지털 추적시스템이 임상비용과 임상 효과성 재고에 어떤 역할을 할수 있을지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제공한다... 웨어러블 바이오센서를 활용하여 얻은 병리학적인 지표를 임상에 적용하고, 질병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지속추적기술을 활용하고 임상전문가와 환자들을 교육시키는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개발하여 임상적 의사결정에 있어 환자로부터 수집된 정보의 절절한 통합을 추구하는데...


HoneyBeeCollaborativeCSH90degweb0415그 과정 살펴보면, 먼저 간호팀에서 외래환자의 질병진행의 모니터링과 질병추이에 대한 예상이 환자의 건강을 개선하고 의료비를 절감할수 있는 임상적 상황을 확인한다... 이 때 집중하는 부분은 센서 그 자체보다도 해결리 필요한 문제 그 자체라고... 어쨌든 그 후 엔지니어, 간호사, 디자인 및 경영학과 학생들로 구성된 융합팀은 보고되는 병리학적 변수와 그 정확도 및  신뢰도를 결정하고 가성비를 비교하기 위해 상업용 웨어러블 센서를 조사한다... 그리고 변수들을 적출하기 위한 방법을 결정하기 위해 상업용 기기들이 제공한 정보를 분석한다... 이때 융합팀은 데이터 시그널과 환자 상태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작은 임상시험을 운영한다... 그 다음은 상업화 전략을 짜게 된는데... 의료비용을 절감시키면서 환자상태를 개선시키는 것으로 판명된 기기나 어플리케이션은 무작위 임상문제시험(Randomized Clinical Trial)과 FDA 승인의 대상이 된고한다... Project HoneyBee는 아리조나 주립대학과 Mayo Clinic,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PatientsLikeMe, Banner Health, Barrow Neurological Institute, Dignity Health, Honor Health 등과 같은 기관과 공조체계를 이루고 있다...

22Project HoneyBee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보고싶은 분은 여기를 클릭... 아마도 Hoeny Bee

25이어서 진행된 UN Foundation and mHELP의 Dr. Patricial Mechael에 발표...

28그리고 그 다음은 정부 총회...

패널은 왼쪽부터 Alvin Marcelo (WHO), Adetokunbo Oshin (Ministry of Health, Nigeria), Mark Ladry (WHO WPRO),  Osumane Ly (Agence Nationale de Telesante et d'informatique Midicale (ANTIM)...

29주 내용은 국가단위의 mHealth 정책을 기획함에 있어 UHC와 ICT 상호협력의 과정... 그 과정을 10개 단위로 쪼개놓았는데, 사실 보건사업을 기획하는 입장에서는 어떻게 보면 당연한 크게 새로울건 없는 내용... 뭐.. 하긴... 늘 문제는 당연한 것을 안지키는데 있으니까...

38Keynote가 끝난 후엔 Round Table Presentation이 있었다... 요로코럼 참가자들끼리 옹기종기 모여서 각자의 사업들에 대해서 나누는 시간도 갖는다... 우리 테이블을 비롯하여 JHPEIGO, Grameen Foundation, D-Tree, USAID, UN Foundation등의 테이블이 있었는데 다른 기관 사업 및 아이템 구경하면서 우리꺼 자랑하는 재미...

33다시 시작된 Concurrent Session에서는 mHealth의 주제를 Access, Design, Ecosystems, Evidence, Finance, Innovation, Local Ownership으로 나누어서 진행하였는데, 사진은 Evidence Session에서 Johns Hopkins 보건대학원의 Neelu Singh박사가 방글라데시에서 진행중인 mCare에 대한 발표를 하는 모습이다...

31지난번 가나 출장에서도 느꼈지만 다른 LMIC에서는 방글라데시를 mHealth 관점에서 꽤나 발전된 국가로 보고 벤치마킹하기 위해 노력중이다...

이 Session에서 논의되었던 mCare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지난 포스팅에서도 설명한 적이 있으므로 참고하도록 하자...

http://dpfreak.com/%EA%B5%AD%EC%A0%9C%EB%B3%B4%EA%B1%B4%EC%97%90%EC%84%9C-mhealth-%ED%99%9C%EC%9A%A9%EC%9D%98-%EC%8B%A4%EB%A1%80/ 

그리고 두둥!!!

46mCare 사업은 Johns Hopkins University 보건대학원의 Alain Labrique 교수님이 주도하시는 연구이다...  교수님은 mHealth 분야의 권위자시며, 교수님 어머님이 방글라데시 분인 것으로 알고 있다... 교수님과는 페친인데 그의 타임라인을 가만히 들여다보고 있노라면, 성공한 덕후의 모습을 보여주셔서 뭔가 세상의 귀감이 되시는 것 같다...

)ノ  매번 Email로만 인사드리다 직접뵈니 뭔가 반가워요~

47지금 발표하시는 화면을 자세히 보면...저자가...

( •___•  )  Young Ji Jo!!!

사실 이 내용은 지인인 조영지 선생님 발표였으나... 조영지 선생님이 당시 월드뱅크의 컨설턴트로 출장중이여서 지도교수이신 Labrique 교수님이 대신 발표해 주셨다...

logo-main안타깝게도 2015년 mHealth Summit은 11월에 있었으나, 다른 일정이 있어서 참석하지는 못하였다… 올해는 갈 수 있으려나  몰라.... 다행히 작년부터 행사가 11월로 옮겨져서 기말고사하고 안겹치기 때문에, 주변 학교 보건분야 학생들은 mHealth의 트랜드에 대해서 알아볼 좋은 기회이니 한번 참석해 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 혹, 구연이나 포스터를 발표하게 되면 더욱 좋고... 그리고 현재 mHealth의 개념을 사업에 도입하고 있는 국제개발/국제보건기관이나 mHealth를 활용한 공유가치창출 (Creating Shared Value, CSV)등을 고려중인 기업 관계자라면 역시 참석을 고려해 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mHealth Summit은 뭔가 해가 갈수록 점점 거대해 지고 있는 듯한 느낌...

내 몸도 그렇지만...

 앞으로의 mHealth Summit에 대한 정보들은 여기에서 확인하도록 하자...
그나저나 여기 다녀오고나서는 계속 개발자들이랑 친해져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 •_•  )  으... 응???

끗...


Copyright (C) since 2008 by www.dpfreak.com all rights reserved.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국제보건 사업 현장에서의 답 없는 고민들] 보건의료인력 역량강화 (이인석)

모성 및 신생아 건강 증진 사업의 핵심 목표는 시설분만율을 높이고 , 산모가 시설에 왔을 때 질 높은 서비스 (Quality care) 를 제공받아 안전한 분만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 이를 위해 각 시설의 인력 및 시설 역량강화 (Improve availability and readiness), 시설 이용율을 높이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 (Increase utilization), 지역사회 주민들의 인식개선 (Increase demand for use) 등을 종합적 (Comprehensive) 으로 증진 시킬 수 있는 프로젝트들이 많이 개발되어 진행 중에 있다 . 이 중 특히 시설의 인력 및 시설 역량강화 부분은 다른 활동들에 비해 쉽게 (?) 진행할 수 있고 결과도 상대적으로 눈에 잘 띄는 것처럼 보이기에 많은 기관에서 선호하는 활동이 아닌가 싶다 . 활동의 결과가 상대적으로 눈에 잘 띄는 것처럼 보인다는 얘기는 관련된 활동의 지표 달성율을 높이기가 타 활동들에 비해 쉽다는 말이다 . 보건의료인력 역량강화 활동에 주로 쓰이는 Output 수준의 지표는 트레이닝을 받은 인력의 수 , 트레이닝 받은 인력의 지식 증가 정도 등이 되겠다 . 이러한 지표들은 ‘ 지역사회 주민들의 모성보건 관련 인식 증가 수준 ’, ‘CHW 가 등록한 산모의 수 ’ 등과 같은 지표에 비교했을 때 측정 및 목표달성이 상대적으로 간단하다 . 하지만 문제는 보건의료인력 역량 강화라는 것이 단순한 Output 지표 증가로 만족하고 끝날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 우리가 트레이닝을 제공했을 때 기대하는 결과물은 해당 트레이닝을 통해 보건의료인력들의 지식 수준이 증가하고 , 트레이닝 받은 인력이 시설로 돌아가서 배운 내용을 활용하여 환자들에게 업그레이드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 이를 통해 환자들의 만족도가 높아지며 , 결과적으로 모성사망률 감소에 지대한 공헌을 하는 것일 것이다 . 그렇다면 현장에서 과연 이 아름다운 스토리가 잘 쓰여질까 ? 쉽지않은 일이다 . 왜 쉽지 ...

[필드에서 전하는 C4D 이야기] 트레이닝 어디까지 해봤니? (김형준)

지난 삼일간 디스트릭트 베이스 교육청 직원 대상으로 한 C4D 교육을 마쳤다. 중앙정부 관계자부터 지방에 베이스를 둔 엔지오 파트너까지 정말 많은 사람들을 때로는 영어로 때로는 현지어를 섞어가며 트레이닝을 해오면서 느낀 점을 조금 나누어보고자한다. 1) 파워포인트는 사치!  중앙정부 관계자는 다른 일이지만 군(district) 레벨 까지 가게 되면 프로젝트는 물론 랩탑도 없는 경우가 다반사다. 도너 펀딩이 많은 보건쪽 중앙정부는 맥북쓰고 막 그런다. 허나 교육같은 다른 섹터는 랩탑도 없는 경우가 다반사. 이 사람들에게 나 편하자고 피피티 만들어서 교육하면 나야 편하다. 그러나 이들이 자기 지역으로 돌아가서 커뮤니티, 학교, 병원에 가서 우리가 준 피피티로 똑같이 교육할 수 있을까? 하는 질문에 우린 자신이 없다. 그래서 준비에 시간이 더 걸리더라도 종이를 자르고 붙이고해서 교육자료를 만든다. 교육 참가자들이 자기 자리로 돌아가 쉽게 replicate 할 수 있도록 그들의 눈높이에 맞추는 것. 그래서 이런 교육 갈때마다 캐리어 한가득 종이뭉탱이를 들고간다. 구식이고 후져보일지도 모르겠다. 허나 현장에선 이게 적정기술이라면 적정기술이다. 뭐 그렇다고 피피티가 없는 건 아니다. 피피티로 가능한 참가자들에게는 그들을 위한 200슬라이드가 넘는 자료가 있다. 못해서 안하는 게 아니라는게 포인트. 2) 캔유 플리즈 스픽 잉글리시 플리즈?  우스개소리지만 한 영국 사람이 가나에서 트레이닝을 막 진행하다 질문있냐고 물었다고 한다. 그러자 가나 사람이 물었다. "캔 유 플리즈 스픽 잉글리시 플리즈?" 제발 영어로 말해줄 수 있냐는 거다. 참고로 가나 공용어는 영어다. 영어를 잘한다는 것과 커뮤니케이션을 잘한다는 것은 다른 문제라는 좋은 예. 발음, 억양, 표현법 등이 실제로 메세지를 전달하는데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나는 나름 코리아나이즈 된 미국 억양을 쓴다고 생각하지만 이들에게는 외계영어로 들릴 수도 있다는 ...

[닥터리의 가나 스토리] 개도국 보건분야 지원 예산의 집행과 관리의 어려움.. (이훈상)

가나 보건부 보건분야 섹터회의에 참석하면서 느낀 것 하나. 개도국 보건분야에 지원된 예산이 제대로 집행되고 관리되기 위해 필요한 것.. 돈을 제대로 쓸곳에 쓰는지 돈을 제때에 썼는지 돈을 쓴 사항은 제대로 집행이 되었는지 자금의 전용은 있었는지 돈을 쓴 결과 등이 제때에 정확히 보고가 되고 있는지 돈을 쓴 결과가 보고가 된 데이터와 자료들이 제때에 재대로 집계가 되는지 돈을 쓴 결과가 제때 보고되지 않을때 이에 대한 재재 방안이 있는지 보고되고 집계된 데이터에 대한 정리와 분석이 이루어지는지 집계된 예산 집행 데이터 보고 자료 결과에 대한 환류가 정책과정으로 구축되어 있는지 이에 더하여 기획과 집행, 관리, 모니터링과 평가 등에 있어서 집행 과정에 대한 관리 집행할 프로그램과 사업에 대한 기획의 역량 집행을 위한 조직 구조와 관리 체계 프로그램과 사업 집행의 지속적인 모니터링 구조의 구축 프로그램과 사업 집행 결과의 평가 및 확인 집행된 프로그램과 사업의 실질적인 효과성에 대한 확인 집행된 프로그램과 사업의 효과의 실질적 영향(counter factual에 비교한 검증)의 평가와 확인 요즘 들어 학부시절 공공재정학(Public Financing) 수업을 안들었던 것이 두고 두고 아쉬운 느낌. 특히 가나의 경우 많은 섹터 예산 지원등을 받고 있었고 SWAP의 초기 모델 국가였던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지적받고 있는 부처의 예산 집행과 관리에 있어서의 산적한 문제로 인해서 점점 도너들이 섹터예산지원에서 돈을 빼가고 있는 상황 가운데, PFM(Public Finance Management)의 중요성이 매우 강조되고 있는 상황. 수많은 섹터예산 지원을 했던 도너들은 매우 frustrate되어 있는 상황. 지원된 예산을 쓰고 이에 대한 보고와 관리 체계를 운용하는 것 자체가 가나 정부에겐 국가적 institutional capacity 차원에서 매우 큰 어려움으로 작용하고 있는 상황. 여기에는 부패도 있지만 공공재정의 관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