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내가 함께 일하는 파트너에 관해 소개하고자 한다. 가나에 베이스를 둔 Literacy Bridge (LB) 라는 NGO다. 즉, 문맹률이 높은 가나에서 정보의 다리가 되겠다는 의미가 담겨있는 이름.
우스갯소리지만 난 Literacy bridge 아시아지역 총괄 매니저로 방콕으로 보내준다면, 정말 유니세프를 그만두고 갈 수 있을 것 같다. 이 파트너가 만든 토킹북이라는 디바이스를 미친듯이 도너들에게 팔 수(?) 있을 것 같은 확신이 든다. 그 정도로 믿음이 크다.
토킹북으로 말씀드릴 것 같으면, 언어가 다양하고 문해율이 낮은 가나에서 다양한 개발사업을 할때 부딪히는 커뮤니케이션의 한계를 소리를 바탕으로 한 메세지를 통해 정보의 벽을 허무는 기계다. 영어로 하면 이렇다 "Talking book is the world’s most affordable audio computer designed specifically for illiterate people who have limited access to lifesaving information in their own language."
두손에 딱 들어오는 작은 라디오 기계인 토킹북. 쉽게 말하면 본인이 원하는 메세지를 간단한 인터페이스에 따라 찾아 들을 수 있고, 메세지의 스타일도 오디오 드라마, 음악, 지역 유지의 목소리 등을 통해 다양하게 전달한다. 무엇보다 그 지역에 가서 그 지역 주민들과 함께 컨텐츠를 개발하고 실제로 녹음해서 같은 언어를 쓰는 커뮤니티에 배포한다.
이 토킹북은 흡사 매주 배달오는 잡지와도 같아서, 매 가정마다 1주일씩 사용 기간을 줘서, 그 안에 최대한 들을 수 있게 압박(?)을 주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번주는 영희네 집에서 들었다면, 담주는 철수네 집으로 전달되는 방식으로 마을 전체를 계속 돈다. 이렇게 데드라인이 있으면 실제로 사람들이 일주일 사용기간동안 최대한 활용해서 듣게 된다. 매주 우리를 압박하던 구몬 학습지와는 차원이 다르다. 피아노 뒤로 문제지 안 던져도 되는 거다. ㅎㅎ
토킹북에 들어있는 메세지는 보건, 위생, 교육, 젠더 같은 유니세프의 메세지 뿐만 아니라 다른 파트너들의 컨텐츠인 농업 관련 정보들도 들어가 있다. 다양한 주제를 넣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정보를 주체적으로 들을 수 있게 함으로, 메세지 사용권리를 프로그램 참여자에게 주는 참으로 인권베이스된 어프로치라 할 수 있다. 게다가 다양한 파트너가 비용을 분담해서 한 기계에 다양한 메세지를 넣기 때문에 프로그램 예산도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다른 매체와 비교하자면, 라디오는 메세지를 들으면 일하다가, 혹은 지나가면서 실제 노출은 되지만 대부분 메세지를 기억 못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반면 토킹북은 내가 여유로울때 찾아서 듣는 것이기에 집중도도 높고 교육효과가 더 크다. (물론 리서치를 바탕으로 하는 말이다.) 요즘 뜨는 모바일 커뮤니케이션도 아쉽지만 SMS를 읽으려해도 글을 모르면 정보습득에 제한이 있다. 실제로 가나에서는 자기네 방언들을 말로는 알지만 실제로 쓰라면 쓸줄 모르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소리 중심의 언어기 때문에 토킹북의 소리 베이스 교육 방식이 효율적인게다. 또한 모바일은 개인을 대상으로 하지만, 토킹북은 집에 틀어놓고 주변 가족까지 같이 들을 수 있는 효과까지 있다. 그리고 귀에 대고 들어야하는 핸드폰보다 장착 스피커를 통해 더 오래 편하게 들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토킹북은 사용자가 궁금한 질문들을 기계에 녹음할 수 있고, 그것을 바탕으로 다음 시즌 컨텐츠를 개발해서 그 가정에게 다시 돌아가는 피드백 루프 또한 확보하고 있다.
무엇보다 토킹북의 가장 큰 장점은 나같은 프로그램 매니저가 원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제공한다는 것이다. 간단해보이는 기계지만 안드로이드 폰을 연결하면, 이 기계를 통해 몇 가정이 토킹북을 들었고, 어떤 주제를, 얼마나 길게 들었는지, 피드백의 개수는 몇개인지 바로 저장이 된다. 그 정보는 핸드폰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버에 저장이 되어서 실시간 dashboard에서 사용자의 노출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지난 수십년간 많은 개발기관들이 인식개선 및 행동변화를 위해 라디오, 티비, 커뮤니티 연극, 가정방문, 드라마 등등 많은 채널을 통해 노력했지만, 실제 비용대비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는 증명하는데 애를 먹은게 사실이다. 예를 들어 라디오에 광고를 하면 몇명이 듣는지, 얼마나 메세지를 리콜하는지 등은 따로 리서치를 하지 않으면 시청율 집계도 안되는 개발도상국에서는 그냥 밑빠진 독에 물을 붓는 느낌이다. 분명이 사람들이 라디오를 가장 많이 듣는다고는 하는데, 우리가 들인 몇백, 몇천만원의 광고 메세지는 들었을까? 그 돈을 준 도너가 도대체 무엇이 바뀌었냐고 하면, 우리가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에는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한국에서는 매체 광고 효과를 다양한 방식으로 조사하고, 수치화하지만, 내가 일하는 개발도상국에서는 그게 말처럼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그런 의미에서 토킹북은 우리의 메세지 개발 비용대비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얼마나 오래, 자주 들었는지 정확히 계산이 가능하다. 한 명에게 메세지를 전달하기 위해서 50센트정도 든다 같은 계산이 되는 것이다. 실제 티비 대비 비용도 훨씬 싸고, 사용자 만족도나 행동변화에 대한 데이터도 긍정적이다.
LB는 미국에서 개발경제학 박사과정에 있는 친구들을 컨설턴트로 고용해서 영향평가(Impact evaluation)를 진행해왔다. 토킹북 유저와 토킹북을 사용해보지 않은 사람들을 나누고, 시간을 두고 메세지를 노출시켜서 그들의 지식 (knowledge), 태도 (attitude), 행동 (behavior) 변화를 추적해왔다. 지난 2년간 유니세프 C4D 프로그램은 LB와 함께 40개 커뮤니티의 4만명 정도를 대상으로 토킹북을 활용했고 영향평가 결과는 이렇다.
토킹북 사용자들 (treatment)이 비사용자 (control) 대비 말라리아를 예방할 수 있는 모기장 안에서 자는 비율 (sleeping under LLIN)이 50%나 높고, 손씻기 (handwashing)도 50%가 높고, 설사하는 아동들에게 ORS를 주는 행동또한 33%나 비사용자보다 높은 것으로 평가 결과 나타났다. 즉, 온전히 토킹북을 통해 배운 것들로 인해 지식의 증가 뿐만 아니라 실제 행동 변화도 비사용자 그룹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나는 것이다. 실제로 설사나 말라리아로 죽는 아동이 많은 상황에서는 간단한 행동변화로 질병을 예방할 수 있기에 토킹북이 가져오는 행동 변화의 의미가 참 크다.
토킹북이 그럼 비싸지 않을까 물을지도 모르겠다. 토킹북은 생산해서 가나까지 배달/통관하는 비용 포함 약 30불이다. 현재는 전기사정을 고려해 시골에서도 쉽게 구할 수 있는 건전지로 운영이 되지만 앞으로는 핸드폰 충전기로 충전할 수 있게 제품 리폼 중이다. 나중에는 태양열로 충전하고 GPS까지 달아서 더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자고 제안을 해야겠다.
지난 2년간의 데이터가 대인커뮤니케이션 (interpersonal communication)의 대안으로의 토킹북의 효과를 충분히 보여줬다. 그것을 바탕으로 우리팀은 앞으로 3년간 100만불 (12억)을 들여서 토킹북을 50만명 정도에게 활용하는 파트너십을 얼마전 LB와 체결했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가정방문 모델을 넘어서 학교에 두는 모델, 보건소에 기다리면서 들을 수 있는 모델도 테스트해볼 계획이다. 사람들이 있는 곳에 찾아가는 만물 박사 김박사님같은 그런 느낌이다. 글을 몰라도 누구에게나, 언제든지, 원하는 정보를 들을 수 있는 디바이스를 제공해주는 토킹북. 내가 가나에 있을때까지 토킹북은 나의 자랑스런 파트너이자 연구주제가 될것이다.
덧. LB의 창업자이자 CEO는 미국사람인데 MIT나와서 미군핵잠수함에서 일하고 마이크로 소프트에서도 일했던 엔지니어다. 이 토킹북으로 클린턴, 빌게이츠한테 상도 받고 그랬다. 지난 10년간 LB를 이끌어낸 혁신가이기도 하다.
더 관심있는 분은 홈페이지를 방문하시길.
http://www.literacybridge.org/

우스갯소리지만 난 Literacy bridge 아시아지역 총괄 매니저로 방콕으로 보내준다면, 정말 유니세프를 그만두고 갈 수 있을 것 같다. 이 파트너가 만든 토킹북이라는 디바이스를 미친듯이 도너들에게 팔 수(?) 있을 것 같은 확신이 든다. 그 정도로 믿음이 크다.
토킹북으로 말씀드릴 것 같으면, 언어가 다양하고 문해율이 낮은 가나에서 다양한 개발사업을 할때 부딪히는 커뮤니케이션의 한계를 소리를 바탕으로 한 메세지를 통해 정보의 벽을 허무는 기계다. 영어로 하면 이렇다 "Talking book is the world’s most affordable audio computer designed specifically for illiterate people who have limited access to lifesaving information in their own language."
두손에 딱 들어오는 작은 라디오 기계인 토킹북. 쉽게 말하면 본인이 원하는 메세지를 간단한 인터페이스에 따라 찾아 들을 수 있고, 메세지의 스타일도 오디오 드라마, 음악, 지역 유지의 목소리 등을 통해 다양하게 전달한다. 무엇보다 그 지역에 가서 그 지역 주민들과 함께 컨텐츠를 개발하고 실제로 녹음해서 같은 언어를 쓰는 커뮤니티에 배포한다.
이 토킹북은 흡사 매주 배달오는 잡지와도 같아서, 매 가정마다 1주일씩 사용 기간을 줘서, 그 안에 최대한 들을 수 있게 압박(?)을 주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번주는 영희네 집에서 들었다면, 담주는 철수네 집으로 전달되는 방식으로 마을 전체를 계속 돈다. 이렇게 데드라인이 있으면 실제로 사람들이 일주일 사용기간동안 최대한 활용해서 듣게 된다. 매주 우리를 압박하던 구몬 학습지와는 차원이 다르다. 피아노 뒤로 문제지 안 던져도 되는 거다. ㅎㅎ
토킹북에 들어있는 메세지는 보건, 위생, 교육, 젠더 같은 유니세프의 메세지 뿐만 아니라 다른 파트너들의 컨텐츠인 농업 관련 정보들도 들어가 있다. 다양한 주제를 넣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정보를 주체적으로 들을 수 있게 함으로, 메세지 사용권리를 프로그램 참여자에게 주는 참으로 인권베이스된 어프로치라 할 수 있다. 게다가 다양한 파트너가 비용을 분담해서 한 기계에 다양한 메세지를 넣기 때문에 프로그램 예산도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다른 매체와 비교하자면, 라디오는 메세지를 들으면 일하다가, 혹은 지나가면서 실제 노출은 되지만 대부분 메세지를 기억 못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반면 토킹북은 내가 여유로울때 찾아서 듣는 것이기에 집중도도 높고 교육효과가 더 크다. (물론 리서치를 바탕으로 하는 말이다.) 요즘 뜨는 모바일 커뮤니케이션도 아쉽지만 SMS를 읽으려해도 글을 모르면 정보습득에 제한이 있다. 실제로 가나에서는 자기네 방언들을 말로는 알지만 실제로 쓰라면 쓸줄 모르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소리 중심의 언어기 때문에 토킹북의 소리 베이스 교육 방식이 효율적인게다. 또한 모바일은 개인을 대상으로 하지만, 토킹북은 집에 틀어놓고 주변 가족까지 같이 들을 수 있는 효과까지 있다. 그리고 귀에 대고 들어야하는 핸드폰보다 장착 스피커를 통해 더 오래 편하게 들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토킹북은 사용자가 궁금한 질문들을 기계에 녹음할 수 있고, 그것을 바탕으로 다음 시즌 컨텐츠를 개발해서 그 가정에게 다시 돌아가는 피드백 루프 또한 확보하고 있다.
무엇보다 토킹북의 가장 큰 장점은 나같은 프로그램 매니저가 원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제공한다는 것이다. 간단해보이는 기계지만 안드로이드 폰을 연결하면, 이 기계를 통해 몇 가정이 토킹북을 들었고, 어떤 주제를, 얼마나 길게 들었는지, 피드백의 개수는 몇개인지 바로 저장이 된다. 그 정보는 핸드폰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버에 저장이 되어서 실시간 dashboard에서 사용자의 노출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지난 수십년간 많은 개발기관들이 인식개선 및 행동변화를 위해 라디오, 티비, 커뮤니티 연극, 가정방문, 드라마 등등 많은 채널을 통해 노력했지만, 실제 비용대비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는 증명하는데 애를 먹은게 사실이다. 예를 들어 라디오에 광고를 하면 몇명이 듣는지, 얼마나 메세지를 리콜하는지 등은 따로 리서치를 하지 않으면 시청율 집계도 안되는 개발도상국에서는 그냥 밑빠진 독에 물을 붓는 느낌이다. 분명이 사람들이 라디오를 가장 많이 듣는다고는 하는데, 우리가 들인 몇백, 몇천만원의 광고 메세지는 들었을까? 그 돈을 준 도너가 도대체 무엇이 바뀌었냐고 하면, 우리가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에는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한국에서는 매체 광고 효과를 다양한 방식으로 조사하고, 수치화하지만, 내가 일하는 개발도상국에서는 그게 말처럼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그런 의미에서 토킹북은 우리의 메세지 개발 비용대비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얼마나 오래, 자주 들었는지 정확히 계산이 가능하다. 한 명에게 메세지를 전달하기 위해서 50센트정도 든다 같은 계산이 되는 것이다. 실제 티비 대비 비용도 훨씬 싸고, 사용자 만족도나 행동변화에 대한 데이터도 긍정적이다.
LB는 미국에서 개발경제학 박사과정에 있는 친구들을 컨설턴트로 고용해서 영향평가(Impact evaluation)를 진행해왔다. 토킹북 유저와 토킹북을 사용해보지 않은 사람들을 나누고, 시간을 두고 메세지를 노출시켜서 그들의 지식 (knowledge), 태도 (attitude), 행동 (behavior) 변화를 추적해왔다. 지난 2년간 유니세프 C4D 프로그램은 LB와 함께 40개 커뮤니티의 4만명 정도를 대상으로 토킹북을 활용했고 영향평가 결과는 이렇다.
토킹북 사용자들 (treatment)이 비사용자 (control) 대비 말라리아를 예방할 수 있는 모기장 안에서 자는 비율 (sleeping under LLIN)이 50%나 높고, 손씻기 (handwashing)도 50%가 높고, 설사하는 아동들에게 ORS를 주는 행동또한 33%나 비사용자보다 높은 것으로 평가 결과 나타났다. 즉, 온전히 토킹북을 통해 배운 것들로 인해 지식의 증가 뿐만 아니라 실제 행동 변화도 비사용자 그룹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나는 것이다. 실제로 설사나 말라리아로 죽는 아동이 많은 상황에서는 간단한 행동변화로 질병을 예방할 수 있기에 토킹북이 가져오는 행동 변화의 의미가 참 크다.
토킹북이 그럼 비싸지 않을까 물을지도 모르겠다. 토킹북은 생산해서 가나까지 배달/통관하는 비용 포함 약 30불이다. 현재는 전기사정을 고려해 시골에서도 쉽게 구할 수 있는 건전지로 운영이 되지만 앞으로는 핸드폰 충전기로 충전할 수 있게 제품 리폼 중이다. 나중에는 태양열로 충전하고 GPS까지 달아서 더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자고 제안을 해야겠다.
지난 2년간의 데이터가 대인커뮤니케이션 (interpersonal communication)의 대안으로의 토킹북의 효과를 충분히 보여줬다. 그것을 바탕으로 우리팀은 앞으로 3년간 100만불 (12억)을 들여서 토킹북을 50만명 정도에게 활용하는 파트너십을 얼마전 LB와 체결했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가정방문 모델을 넘어서 학교에 두는 모델, 보건소에 기다리면서 들을 수 있는 모델도 테스트해볼 계획이다. 사람들이 있는 곳에 찾아가는 만물 박사 김박사님같은 그런 느낌이다. 글을 몰라도 누구에게나, 언제든지, 원하는 정보를 들을 수 있는 디바이스를 제공해주는 토킹북. 내가 가나에 있을때까지 토킹북은 나의 자랑스런 파트너이자 연구주제가 될것이다.
덧. LB의 창업자이자 CEO는 미국사람인데 MIT나와서 미군핵잠수함에서 일하고 마이크로 소프트에서도 일했던 엔지니어다. 이 토킹북으로 클린턴, 빌게이츠한테 상도 받고 그랬다. 지난 10년간 LB를 이끌어낸 혁신가이기도 하다.
더 관심있는 분은 홈페이지를 방문하시길.
http://www.literacybridge.org/

작성자: 김형준 (유니세프 가나 사무소 C4D Specialist)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