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필드에서 전하는 C4D 이야기] 말하는 기계, Talking Book (김형준)

오늘은 내가 함께 일하는 파트너에 관해 소개하고자 한다. 가나에 베이스를 둔 Literacy Bridge (LB) 라는 NGO다. 즉, 문맹률이 높은 가나에서 정보의 다리가 되겠다는 의미가 담겨있는 이름.

우스갯소리지만 난 Literacy bridge 아시아지역 총괄 매니저로 방콕으로 보내준다면, 정말 유니세프를 그만두고 갈 수 있을 것 같다. 이 파트너가 만든 토킹북이라는 디바이스를 미친듯이 도너들에게 팔 수(?) 있을 것 같은 확신이 든다. 그 정도로 믿음이 크다.

토킹북으로 말씀드릴 것 같으면, 언어가 다양하고 문해율이 낮은 가나에서 다양한 개발사업을 할때 부딪히는 커뮤니케이션의 한계를 소리를 바탕으로 한 메세지를 통해 정보의 벽을 허무는 기계다. 영어로 하면 이렇다 "Talking book is the world’s most affordable audio computer designed specifically for illiterate people who have limited access to lifesaving information in their own language."

두손에 딱 들어오는 작은 라디오 기계인 토킹북. 쉽게 말하면 본인이 원하는 메세지를 간단한 인터페이스에 따라 찾아 들을 수 있고, 메세지의 스타일도 오디오 드라마, 음악, 지역 유지의 목소리 등을 통해 다양하게 전달한다. 무엇보다 그 지역에 가서 그 지역 주민들과 함께 컨텐츠를 개발하고 실제로 녹음해서 같은 언어를 쓰는 커뮤니티에 배포한다.

이 토킹북은 흡사 매주 배달오는 잡지와도 같아서, 매 가정마다 1주일씩 사용 기간을 줘서, 그 안에 최대한 들을 수 있게 압박(?)을 주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번주는 영희네 집에서 들었다면, 담주는 철수네 집으로 전달되는 방식으로 마을 전체를 계속 돈다. 이렇게 데드라인이 있으면 실제로 사람들이 일주일 사용기간동안 최대한 활용해서 듣게 된다. 매주 우리를 압박하던 구몬 학습지와는 차원이 다르다. 피아노 뒤로 문제지 안 던져도 되는 거다. ㅎㅎ

토킹북에 들어있는 메세지는 보건, 위생, 교육, 젠더 같은 유니세프의 메세지 뿐만 아니라 다른 파트너들의 컨텐츠인 농업 관련 정보들도 들어가 있다. 다양한 주제를 넣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정보를 주체적으로 들을 수 있게 함으로, 메세지 사용권리를 프로그램 참여자에게 주는 참으로 인권베이스된 어프로치라 할 수 있다. 게다가 다양한 파트너가 비용을 분담해서 한 기계에 다양한 메세지를 넣기 때문에 프로그램 예산도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다른 매체와 비교하자면, 라디오는 메세지를 들으면 일하다가, 혹은 지나가면서 실제 노출은 되지만 대부분 메세지를 기억 못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반면 토킹북은 내가 여유로울때 찾아서 듣는 것이기에 집중도도 높고 교육효과가 더 크다. (물론 리서치를 바탕으로 하는 말이다.) 요즘 뜨는 모바일 커뮤니케이션도 아쉽지만 SMS를 읽으려해도 글을 모르면 정보습득에 제한이 있다. 실제로 가나에서는 자기네 방언들을 말로는 알지만 실제로 쓰라면 쓸줄 모르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소리 중심의 언어기 때문에 토킹북의 소리 베이스 교육 방식이 효율적인게다. 또한 모바일은 개인을 대상으로 하지만, 토킹북은 집에 틀어놓고 주변 가족까지 같이 들을 수 있는 효과까지 있다. 그리고 귀에 대고 들어야하는 핸드폰보다 장착 스피커를 통해 더 오래 편하게 들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토킹북은 사용자가 궁금한 질문들을 기계에 녹음할 수 있고, 그것을 바탕으로 다음 시즌 컨텐츠를 개발해서 그 가정에게 다시 돌아가는 피드백 루프 또한 확보하고 있다.

무엇보다 토킹북의 가장 큰 장점은 나같은 프로그램 매니저가 원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제공한다는 것이다. 간단해보이는 기계지만 안드로이드 폰을 연결하면, 이 기계를 통해 몇 가정이 토킹북을 들었고, 어떤 주제를, 얼마나 길게 들었는지, 피드백의 개수는 몇개인지 바로 저장이 된다. 그 정보는 핸드폰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버에 저장이 되어서 실시간 dashboard에서 사용자의 노출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지난 수십년간 많은 개발기관들이 인식개선 및 행동변화를 위해 라디오, 티비, 커뮤니티 연극, 가정방문, 드라마 등등 많은 채널을 통해 노력했지만, 실제 비용대비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는 증명하는데 애를 먹은게 사실이다. 예를 들어 라디오에 광고를 하면 몇명이 듣는지, 얼마나 메세지를 리콜하는지 등은 따로 리서치를 하지 않으면 시청율 집계도 안되는 개발도상국에서는 그냥 밑빠진 독에 물을 붓는 느낌이다. 분명이 사람들이 라디오를 가장 많이 듣는다고는 하는데, 우리가 들인 몇백, 몇천만원의 광고 메세지는 들었을까? 그 돈을 준 도너가 도대체 무엇이 바뀌었냐고 하면, 우리가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에는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한국에서는 매체 광고 효과를 다양한 방식으로 조사하고, 수치화하지만, 내가 일하는 개발도상국에서는 그게 말처럼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그런 의미에서 토킹북은 우리의 메세지 개발 비용대비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얼마나 오래, 자주 들었는지 정확히 계산이 가능하다. 한 명에게 메세지를 전달하기 위해서 50센트정도 든다 같은 계산이 되는 것이다. 실제 티비 대비 비용도 훨씬 싸고, 사용자 만족도나 행동변화에 대한 데이터도 긍정적이다.

LB는 미국에서 개발경제학 박사과정에 있는 친구들을 컨설턴트로 고용해서 영향평가(Impact evaluation)를 진행해왔다. 토킹북 유저와 토킹북을 사용해보지 않은 사람들을 나누고, 시간을 두고 메세지를 노출시켜서 그들의 지식 (knowledge), 태도 (attitude), 행동 (behavior) 변화를 추적해왔다. 지난 2년간 유니세프 C4D 프로그램은 LB와 함께 40개 커뮤니티의 4만명 정도를 대상으로 토킹북을 활용했고 영향평가 결과는 이렇다.

토킹북 사용자들 (treatment)이 비사용자 (control) 대비 말라리아를 예방할 수 있는 모기장 안에서 자는 비율 (sleeping under LLIN)이 50%나 높고, 손씻기 (handwashing)도 50%가 높고, 설사하는 아동들에게 ORS를 주는 행동또한 33%나 비사용자보다 높은 것으로 평가 결과 나타났다. 즉, 온전히 토킹북을 통해 배운 것들로 인해 지식의 증가 뿐만 아니라 실제 행동 변화도 비사용자 그룹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나는 것이다. 실제로 설사나 말라리아로 죽는 아동이 많은 상황에서는 간단한 행동변화로 질병을 예방할 수 있기에 토킹북이 가져오는 행동 변화의 의미가 참 크다.

토킹북이 그럼 비싸지 않을까 물을지도 모르겠다. 토킹북은 생산해서 가나까지 배달/통관하는 비용 포함 약 30불이다. 현재는 전기사정을 고려해 시골에서도 쉽게 구할 수 있는 건전지로 운영이 되지만 앞으로는 핸드폰 충전기로 충전할 수 있게 제품 리폼 중이다. 나중에는 태양열로 충전하고 GPS까지 달아서 더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자고 제안을 해야겠다.

지난 2년간의 데이터가 대인커뮤니케이션 (interpersonal communication)의 대안으로의 토킹북의 효과를 충분히 보여줬다. 그것을 바탕으로 우리팀은 앞으로 3년간 100만불 (12억)을 들여서 토킹북을 50만명 정도에게 활용하는 파트너십을 얼마전 LB와 체결했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가정방문 모델을 넘어서 학교에 두는 모델, 보건소에 기다리면서 들을 수 있는 모델도 테스트해볼 계획이다. 사람들이 있는 곳에 찾아가는 만물 박사 김박사님같은 그런 느낌이다. 글을 몰라도 누구에게나, 언제든지, 원하는 정보를 들을 수 있는 디바이스를 제공해주는 토킹북. 내가 가나에 있을때까지 토킹북은 나의 자랑스런 파트너이자 연구주제가 될것이다.

덧. LB의 창업자이자 CEO는 미국사람인데 MIT나와서 미군핵잠수함에서 일하고 마이크로 소프트에서도 일했던 엔지니어다. 이 토킹북으로 클린턴, 빌게이츠한테 상도 받고 그랬다. 지난 10년간 LB를 이끌어낸 혁신가이기도 하다.

더 관심있는 분은 홈페이지를 방문하시길.

http://www.literacybridge.org/

No automatic alt text available.




작성자: 김형준 (유니세프 가나 사무소 C4D Specialist)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국제보건 사업 현장에서의 답 없는 고민들] 보건의료인력 역량강화 (이인석)

모성 및 신생아 건강 증진 사업의 핵심 목표는 시설분만율을 높이고 , 산모가 시설에 왔을 때 질 높은 서비스 (Quality care) 를 제공받아 안전한 분만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 이를 위해 각 시설의 인력 및 시설 역량강화 (Improve availability and readiness), 시설 이용율을 높이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 (Increase utilization), 지역사회 주민들의 인식개선 (Increase demand for use) 등을 종합적 (Comprehensive) 으로 증진 시킬 수 있는 프로젝트들이 많이 개발되어 진행 중에 있다 . 이 중 특히 시설의 인력 및 시설 역량강화 부분은 다른 활동들에 비해 쉽게 (?) 진행할 수 있고 결과도 상대적으로 눈에 잘 띄는 것처럼 보이기에 많은 기관에서 선호하는 활동이 아닌가 싶다 . 활동의 결과가 상대적으로 눈에 잘 띄는 것처럼 보인다는 얘기는 관련된 활동의 지표 달성율을 높이기가 타 활동들에 비해 쉽다는 말이다 . 보건의료인력 역량강화 활동에 주로 쓰이는 Output 수준의 지표는 트레이닝을 받은 인력의 수 , 트레이닝 받은 인력의 지식 증가 정도 등이 되겠다 . 이러한 지표들은 ‘ 지역사회 주민들의 모성보건 관련 인식 증가 수준 ’, ‘CHW 가 등록한 산모의 수 ’ 등과 같은 지표에 비교했을 때 측정 및 목표달성이 상대적으로 간단하다 . 하지만 문제는 보건의료인력 역량 강화라는 것이 단순한 Output 지표 증가로 만족하고 끝날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 우리가 트레이닝을 제공했을 때 기대하는 결과물은 해당 트레이닝을 통해 보건의료인력들의 지식 수준이 증가하고 , 트레이닝 받은 인력이 시설로 돌아가서 배운 내용을 활용하여 환자들에게 업그레이드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 이를 통해 환자들의 만족도가 높아지며 , 결과적으로 모성사망률 감소에 지대한 공헌을 하는 것일 것이다 . 그렇다면 현장에서 과연 이 아름다운 스토리가 잘 쓰여질까 ? 쉽지않은 일이다 . 왜 쉽지 ...

[필드에서 전하는 C4D 이야기] 트레이닝 어디까지 해봤니? (김형준)

지난 삼일간 디스트릭트 베이스 교육청 직원 대상으로 한 C4D 교육을 마쳤다. 중앙정부 관계자부터 지방에 베이스를 둔 엔지오 파트너까지 정말 많은 사람들을 때로는 영어로 때로는 현지어를 섞어가며 트레이닝을 해오면서 느낀 점을 조금 나누어보고자한다. 1) 파워포인트는 사치!  중앙정부 관계자는 다른 일이지만 군(district) 레벨 까지 가게 되면 프로젝트는 물론 랩탑도 없는 경우가 다반사다. 도너 펀딩이 많은 보건쪽 중앙정부는 맥북쓰고 막 그런다. 허나 교육같은 다른 섹터는 랩탑도 없는 경우가 다반사. 이 사람들에게 나 편하자고 피피티 만들어서 교육하면 나야 편하다. 그러나 이들이 자기 지역으로 돌아가서 커뮤니티, 학교, 병원에 가서 우리가 준 피피티로 똑같이 교육할 수 있을까? 하는 질문에 우린 자신이 없다. 그래서 준비에 시간이 더 걸리더라도 종이를 자르고 붙이고해서 교육자료를 만든다. 교육 참가자들이 자기 자리로 돌아가 쉽게 replicate 할 수 있도록 그들의 눈높이에 맞추는 것. 그래서 이런 교육 갈때마다 캐리어 한가득 종이뭉탱이를 들고간다. 구식이고 후져보일지도 모르겠다. 허나 현장에선 이게 적정기술이라면 적정기술이다. 뭐 그렇다고 피피티가 없는 건 아니다. 피피티로 가능한 참가자들에게는 그들을 위한 200슬라이드가 넘는 자료가 있다. 못해서 안하는 게 아니라는게 포인트. 2) 캔유 플리즈 스픽 잉글리시 플리즈?  우스개소리지만 한 영국 사람이 가나에서 트레이닝을 막 진행하다 질문있냐고 물었다고 한다. 그러자 가나 사람이 물었다. "캔 유 플리즈 스픽 잉글리시 플리즈?" 제발 영어로 말해줄 수 있냐는 거다. 참고로 가나 공용어는 영어다. 영어를 잘한다는 것과 커뮤니케이션을 잘한다는 것은 다른 문제라는 좋은 예. 발음, 억양, 표현법 등이 실제로 메세지를 전달하는데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나는 나름 코리아나이즈 된 미국 억양을 쓴다고 생각하지만 이들에게는 외계영어로 들릴 수도 있다는 ...

[닥터리의 가나 스토리] 개도국 보건분야 지원 예산의 집행과 관리의 어려움.. (이훈상)

가나 보건부 보건분야 섹터회의에 참석하면서 느낀 것 하나. 개도국 보건분야에 지원된 예산이 제대로 집행되고 관리되기 위해 필요한 것.. 돈을 제대로 쓸곳에 쓰는지 돈을 제때에 썼는지 돈을 쓴 사항은 제대로 집행이 되었는지 자금의 전용은 있었는지 돈을 쓴 결과 등이 제때에 정확히 보고가 되고 있는지 돈을 쓴 결과가 보고가 된 데이터와 자료들이 제때에 재대로 집계가 되는지 돈을 쓴 결과가 제때 보고되지 않을때 이에 대한 재재 방안이 있는지 보고되고 집계된 데이터에 대한 정리와 분석이 이루어지는지 집계된 예산 집행 데이터 보고 자료 결과에 대한 환류가 정책과정으로 구축되어 있는지 이에 더하여 기획과 집행, 관리, 모니터링과 평가 등에 있어서 집행 과정에 대한 관리 집행할 프로그램과 사업에 대한 기획의 역량 집행을 위한 조직 구조와 관리 체계 프로그램과 사업 집행의 지속적인 모니터링 구조의 구축 프로그램과 사업 집행 결과의 평가 및 확인 집행된 프로그램과 사업의 실질적인 효과성에 대한 확인 집행된 프로그램과 사업의 효과의 실질적 영향(counter factual에 비교한 검증)의 평가와 확인 요즘 들어 학부시절 공공재정학(Public Financing) 수업을 안들었던 것이 두고 두고 아쉬운 느낌. 특히 가나의 경우 많은 섹터 예산 지원등을 받고 있었고 SWAP의 초기 모델 국가였던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지적받고 있는 부처의 예산 집행과 관리에 있어서의 산적한 문제로 인해서 점점 도너들이 섹터예산지원에서 돈을 빼가고 있는 상황 가운데, PFM(Public Finance Management)의 중요성이 매우 강조되고 있는 상황. 수많은 섹터예산 지원을 했던 도너들은 매우 frustrate되어 있는 상황. 지원된 예산을 쓰고 이에 대한 보고와 관리 체계를 운용하는 것 자체가 가나 정부에겐 국가적 institutional capacity 차원에서 매우 큰 어려움으로 작용하고 있는 상황. 여기에는 부패도 있지만 공공재정의 관리 ...